파이낸셜/재테크노하우

월급쟁이, 직장인 통장쪼개기 방법, 재테크 1순위

Kay~ 2013. 7. 26. 07:00
반응형

 

월급쟁이, 직장인 통장쪼개기 방법, 재테크 1순위

 

 


"잘 있는 통장을 왜 쪼개죠?"
"통장을 쪼개면 관리할 계좌가 많아져서 귀찮은것 아닌가요?"
"통장쪼개기 하면 이자가 더 붙나요?"
위의 글처럼 생각하신다면?
재테크..처음부터 다시 시작하셔야 합니다!

 

 

 

재테크의 기본은 통장쪼개기에서 시작된다!

 

 

 

 

 

 재테크의 기본과 출발은
본인의 월 수입을 정확히 인지하고, 지출금액을 관리해
불필요한 지출은 줄이고 저축은 늘리는 것
입니다.
그 이후 저축관련 효율적인 투자처를 찾는 것이죠.

지출과 카드값을 통제하기 위한 통장쪼개기
매월 지출과 수입을 고려해
급여통장 / 생활비통장 / 결혼자금마련통장 / 청약통장 /비상금 통장 등으로 통을 쪼개는 것 입니다.

 

이는 월 급여의 효과적인 지출내역을 알 수 있게 해주고
계획한 예산 안에서 수입과 지출이 이루어지는지 효율적으로 관리하는 훌륭한 수단이 됩니다.

이에, 통장쪼개기의 시작부터, 효율적인 투자처를 선택할 수 있는
통장쪼개기 현명한 재테크방법에 대해 알려 드리려 합니다.

 

 

1. 급여관리통장

 

통장쪼개기 방법! 카드부터 없애야 합니다.

 

급여관리통장은 정확한 월수입 확인과
공과금, 대출, 보험료, 통신료 등 고정적으로 지출되는 금액을 파악하게 해줍니다.
또한 고정지출 파악 외 사용(저축)가능한 금액을 가늠할 수 있는 지표이기도 합니다.
1금융권에서 다양한 혜택으로 무장한 월급통장 상품을 내놓았지만,
아직까지 월급통장은 CMA통장을 추천합니다.

 

 

CMA가 좋은 이유는 단 하루만 맡겨도 이자를 지급한다는 것입니다.
일반 시중은행의 자유적립통장에 1년을 넣어놔도 0.1%정도 밖에 되지 않는데 ...
CMA통장은 자유롭게 입.출금이 가능하면서도 2.5%이상의 이자를 받을 수가 있어서
재테크를 하는 사람의 필수통장이고 일시적으로 돈이 머물다 가는 급여통장으로 많이 활용합니다.

 

[관련글 참조]

 

CMA통장 종류 및 CMA통장 비교

 

 

2. 지출관리를 위한 생활비통장

 

 

생활비통장은 매월 발생하는 고정지출 외에
식대, 의류비, 기타 등 생활에 필요한 금액을 사용하는 통장입니다.
이때 주의할 것은 생활비통장은 적은 금액을 산정해 그에 맞게 사용하는 것입니다.
다시말해, 충동적 지출을 줄이고 계획된 자금 안에서 소비하는 것 입니다.

 

 

3. 투자통장

 

고정지출과 생활비가 모두 해결된 후 남은 자금으로 무엇을 할까요?

지금부터 저축 시작이니다.

아시다시피 저축에는 여러가지가 있습니다.

 

정기저축, 펀드, 연금, 주택마련통장 등 가능한 투자금액 안에서

5년 후 결혼, 은퇴, 노후생활등 인생의 터닝포인트를 모두 고려하여

그때 그때 사용할 수 있도록 분산 투자하는 것이 가장 좋은 투자방법입니다.

 

 

4. 비상금 통장

 

비상금 통장은 돈을 숨겨두는 통장이 아닙니다.

사고, 질병, 생활비 부족등 예기치 않았던 지출에 대비할 수 있는 통장을 말합니다.

계획적인 저축(투자)금액을 침범하지 않고 갑작스런 지출을 충당할 수 있는 것입니다.

일반적으로 비상금통장은 본인의 한달 월급정도의 금액을 설정해 저축해 두는 것이 좋습니다.

 

연 200~300page가 넘는 가계부를 이리 저리 훑어보며

월, 분기, 연간 수입과 지출을 계산하는 것은 상당히 고된 노동이 될 수 있습니다.

설정한 통장쪼개기가 톱니바퀴처럼 유기적으로 돌아간다면

가계부를 쓰는것보다 더욱 효과적인 수입과 지출을 관리할 수 있습니다.

세세한 항목을 보는 것은 어렵지만, 월지출/저축금액을 한눈에 파악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.

 

월급은 아는데 지출은 모르시는 분~

매월 나가는 카드값은 확인하는데 저축액은 모르시는 분~

저축은 정기적금이 최고인줄 아는 분~

 

지금부터 통장쪼개기 한번 해 보시겠어요?

확~ 달라진 재무상태를 경험하실 수 있습니다.

 

 

 

 

예금,적금,주식,연금등 현명한 투자 선택

 

 

 

반응형